핵을 만든 남자, 시대를 흔들다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영화 ‘오펜하이머’는 2023년 개봉 당시부터 거대한 관심을 받았습니다. 원자폭탄을 개발한 과학자 J. 로버트 오펜하이머라는 실존 인물의 삶을 다룬다는 점에서도 주목받았지만, 무엇보다 그 무게감 있는 주제를 다룬 놀란 특유의 방식이 기대를 모았습니다. 저는 이 영화를 관람하기 전부터 ‘과학자의 내면’이라는 주제에 얼마나 깊이 들어갈 수 있을까 궁금했는데, 보고 나서는 그 복잡함과 인간적인 고뇌가 아주 생생하게 다가와서 놀랐습니다.
영화는 오펜하이머라는 인물을 영웅처럼 이상화하거나, 반대로 악인처럼 몰아세우는 대신, 그를 둘러싼 수많은 시선 속에서 다층적으로 그려냅니다. 그는 천재 물리학자로서 전 세계를 바꿀 과학적 혁신에 기여했지만, 동시에 그 결과로 인해 평생 죄책감과 정치적 공격에 시달리게 되는 인물입니다. 이처럼 한 인간의 삶이 지식, 윤리, 권력이라는 키워드로 얽혀있다는 점에서 매우 묵직한 이야기로 다가왔습니다.
특히, 단순히 원자폭탄을 개발한 사건만이 아니라, 그 이후 그가 어떻게 외부 세계와 마주했는지, 내부의 갈등은 어땠는지를 천천히 따라가는 전개 방식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급하게 감정을 몰아가지 않고, 조심스럽게 질문을 던지고 여운을 남기는 연출이 인상 깊었습니다.
수식보다 깊은 내면, 말과 눈빛으로 움직이는 영화
‘오펜하이머’는 전쟁 영화나 과학 다큐멘터리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인간 오펜하이머’를 따라가는 내면 드라마에 더 가깝습니다. 화려한 액션이나 전투 장면은 거의 없고, 대신 회의실, 강의실, 실험실에서 벌어지는 수많은 대화가 중심입니다. 이 영화는 철저하게 ‘말’로 인물의 생각과 감정을 전달합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점점 빠져들게 되는 매력이 있습니다.
킬리언 머피는 오펜하이머 역을 맡아 놀라운 연기를 보여줍니다. 말수가 적고 감정 표현이 절제되어 있음에도, 그 눈빛과 몸짓, 그리고 대사 하나하나에 담긴 무게가 관객에게 고스란히 전달됩니다. 영화를 보며 저는 계속해서 그가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지, 어떤 감정의 소용돌이 속에 있을지를 상상하게 되었습니다. 그런 집중력이 영화를 3시간 가까이 지루하지 않게 만들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오펜하이머 주변 인물들—특히 에밀리 블런트가 연기한 아내 키티 오펜하이머,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연기한 스트로스 등—의 존재도 매우 중요하게 다가옵니다. 이들은 단순히 조연이 아니라, 오펜하이머의 삶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물들로, 그들과의 관계가 영화에 깊이를 더합니다. 한 사람의 선택이 혼자가 아니라, 주변 환경과 정치, 이념과 얽히면서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생생하게 보여줍니다.
과학의 윤리, 그리고 지금 우리가 묻고 싶은 질문
‘오펜하이머’를 보면서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영화가 단순히 과거를 회상하는 데 그치지 않고, 지금 이 시대에 던질 수 있는 질문들을 끊임없이 제기한다는 점입니다. 과학은 발전할수록 인간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지만, 동시에 더 큰 파괴력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그 책임은 누구에게 있을까요? 연구자일까요, 결정권자일까요, 아니면 침묵하는 대중일까요?
영화 속 오펜하이머는 바로 그 지점에서 혼란을 겪는 인물입니다. 자신의 지식이 인류를 파멸로 이끄는 무기가 되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과정은, 매우 인간적이고 또 슬픈 이야기였습니다. 동시에 이 영화는 그 슬픔을 관객이 함께 느끼게 만듭니다. 제가 극장에서 가장 오래 기억에 남았던 장면은 폭발 자체가 아니라, 그 후의 정적과 침묵이었습니다.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은 기술적인 장면보다 심리적인 울림을 선택했고, 그 선택이 이 영화를 더 특별하게 만든 것 같습니다.
‘오펜하이머’는 한 과학자의 이야기이지만, 결국 그를 통해 우리가 묻게 되는 수많은 가치와 윤리에 대한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과학과 양심, 지식과 권력, 책임과 회피—이 모든 단어들이 오펜하이머라는 인물 안에 동시에 존재했고, 그 모순은 지금 이 시대에도 여전히 유효합니다. 화려한 장면이 없어도 긴 시간 몰입할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그런 질문들이 계속 남았기 때문입니다. 어렵지만 꼭 한 번은 봐야 할 영화였습니다. 보고 나면 스스로에게 묻게 됩니다. “나는 어떤 선택을 할 수 있었을까?”라고요.
'Movi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듄" (2021): 모래 바람 속 운명을 향한 서사시 (0) | 2025.05.23 |
---|---|
영화 "라라랜드" (2016): 꿈과 현실 사이에서 반짝이는 감정의 선율 (0) | 2025.05.23 |
영화 "조커" (2019): 광기의 이면에 숨겨진 사회의 진실 (0) | 2025.05.21 |
기생충 – 한국 사회의 단면을 예리하게 해부한 블랙 코미디 (0) | 2025.05.21 |
어벤져스: 엔드게임 (Avengers: Endgame, 2019) (0) | 2025.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