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자동차 사고 시 보험 수리 기준을 바꾸며, 앞으로는 정품 부품 대신 대체부품(품질인증부품)을 기본 적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소비자가 정품 사용을 원할 경우에는 차액을 본인이 부담해야 하는 구조로, 2025년 8월 16일부터 시행 예정입니다.
✔ 이 제도는 보험료 안정화를 명분으로 추진됐지만, 실제 현장과 국민 여론에서는 거센 반발이 터지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전문가들의 분석과 국민들의 생생한 반응을 중심으로, 이 정책이 왜 논란이 되는지 낱낱이 알려드릴게요.
대체부품 우선 적용, 누구를 위한 제도인가?
금융감독원은 "품질인증을 받은 부품은 정품 대비 가격이 평균 30~40% 저렴해 보험료 인하에 기여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실제로 대체부품 사용을 전제로 한 보험수리 기준은 유럽 일부 국가에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국내 수리시장에서는 대체부품 비중이 0.5%에 불과하며, 정비업계는 “소비자 대부분이 정품을 선호하는 실정에서 강제 적용은 현실을 무시한 조치”라고 비판합니다. 더욱이 소비자가 원하지 않아도 ‘가품 기준’을 먼저 적용하고, 원하면 차액을 지불해야 정품을 쓸 수 있게 되는 방식은 “선택권 침해”라는 지적을 받고 있습니다.
💡 보험료가 내려가도, 그 대가로 안전이 희생된다면 누구도 반기지 않습니다.
국민 청원과 전문가들의 일제 반발
해당 내용이 공개되자마자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자동차보험 약관 개악 반대” 글이 올라왔고, 수천 명이 동의하면서 단기간에 확산되었습니다. 한 네티즌은 “100만 원짜리 휴대폰도 정품 액정 쓰는데, 3천만 원 넘는 자동차는 가품을 기본으로?”라며 분노했습니다.
자동차정비사협회는 “소비자 동의 없이 정품을 제외하고 부품을 적용하는 것은 결국 보험사의 이익을 우선하는 구조”라고 경고했고, 법률가들 역시 “계약자 고지 의무와 선택권이 담보되지 않으면 약관 자체가 무효 논란을 빚을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 국민의 분노는 가격이 아니라 ‘절차와 신뢰’를 무시한 정책 결정에 있습니다.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 관광 재개 추진? 실현 가능성과 논란 한눈에 정리 (2) | 2025.07.24 |
---|---|
의대생·전공의 복귀 논란: 특혜냐, 공정회복이냐? (1) | 2025.07.24 |
정부의 북한 만화 공개 방침, 국민 알권리일까? 체제 선전 우려일까? (5) | 2025.07.23 |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와 전한길 논란: 장동혁의 개혁 선언 (0) | 2025.07.23 |
여가부 장관 후보자 강선우 자진사퇴 (7) | 2025.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