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ssue

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와 받는 방법 한눈에 알아보기

by 사무엘 초이 2025. 7. 22.
반응형

 

• 2025년 7월 21일부터 시작된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전국민에게 1인당 기본 15만 원(차상위는 30만 원·기초수급자는 40만 원), 비수도권·농어촌 추가 지원도 포함됩니다.

• 사용처는 ‘연 매출 30억원 이하 소상공인 업소’로 한정되며, 대형마트·백화점·면세점 등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아래 글에서 사용 가능한 업소 리스트, 사용 방법, 취득 절차를 한 번에 확인하실 수 있어요. 링크를 타고 바로 이동해보세요!

“이 글만 읽어도 우리 동네 어디서 어떻게 쓸 수 있는지 바로 알 수 있습니다!”

📍 소비쿠폰 사용 가능한 업소 리스트 (기준: 연 매출 30억 이하)

  • • 전통시장 및 동네 소형마트 (대부분 사용 가능)
  • • 음식점·식당 (비교적 자유로운 사용처)
  • • 편의점(가맹점), 빵집·카페·치킨 등 프랜차이즈 가맹점 (스타벅스·직영 카페 제외)
  • • 미용실·안경점·의류점 등 생활밀착형 소매점
  • • 약국·의원 등 의료 및 약료 시설 (기초 의료기관 포함)
  • • 학원·교습소 등 교육 서비스 업소
  • • 프랜차이즈 가맹 매장(할리스, 도미노피자, 메가커피 등)
  • • 일부 뷰티 가맹점: 올리브영·아리따움 등 일정 조건 충족 매장
💡 **“전통시장·동네마트·가맹형 편의점카페·의료·교육 업소 등에서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 소비쿠폰 취득부터 사용까지 이렇게 하세요!

  • ✅ 신청 방법: ① 온라인 – 카드사 앱, 지역사랑상품권 앱, 주민센터 웹사이트 등 / ② 오프라인 – 주민센터·은행 창구 방문 
  • ✅ 지급 예상 시점: 온라인 신청 시 익일 충전, 오프라인은 즉시 또는 다음날 
  • ✅ 사용 지역 제한: 지역 내(전국시·도 기준), ‘만나서 결제’ 방식 배달앱 예외 허용 
  • ✅ 유의사항:
    • 대형마트, 백화점, 온라인 쇼핑, 유흥업소 등은 사용 불가 
    • 키오스크·테이블오더는 PG사 경유 시 결제 불가 – 단말 직접 결제로 요청하세요 
    • 가맹점 스티커 확인 & 배달앱 ‘현장결제’ 이용 필요 
💡 **“배달앱도 현장 결제로만! ‘만나서 결제’ 기능을 꼭 활용하세요.”**
💬 결론 요약:
1. 사용 대상은 **전통시장·동네마트·편의점·프랜차이즈 가맹점·의료·미용·교육 등 소상공인 업소**입니다.
2. **대형마트·백화점·온라인·유흥 업소 등은 제외**되며, 사용 전 매장 스티커 확인은 필수!
3. 신청 후 익일부터 사용 가능하며, **11월 30일까지 반드시 소비하세요**.
반응형